translation missing: core_choose_country

공급업체 지속 가능성 성과 평가 (SSPA)

공급업체 지속 가능성 성과 평가 (SSPA)

TUV 라인란드의 SSPA를 통한 공급업체의 인권 및 환경 기준 준수 여부를 확인하세요.

독일의 공급망 실사법(LkSG) 또는 유럽 기업 지속가능성 실사 지침(CS3D)과 같은 규정은 기업이 전체 공급망에서 인권 및 환경 기준을 준수할 것을 의무화하고 있습니다. 이는 인권 및 환경 요건과 관련하여 잠재적인 위험을 철저히 조사하고, 필요한 경우 효과적인 대응 조치를 취하는 것이 필수적인 것입니다.

TUV 라인란드의 공급업체 지속 가능성 성과 평가(SSPA, Supplier Sustainability Performance Assessment)를 통해 기업의 공급업체 근로 환경을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 평가의 목표는 기업의 공급업체의 환경 요건 준수 및 공정한 근로 조건에 대한 현실적이고 전체적인 청사진을 제시하는 것이며, 기준에 부합하지 못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후속 평가를 실시하여 개선을 위한 시정 조치 및 그 효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지속 가능한 공급 업체, 그리고 지속 가능한 비즈니스: 지금 전문가에게 연락하여 공급업체 지속 가능성 성과 평가(SSPA)를 시작하시기 바랍니다!

Expert Talk - Mr. Reinhard Bier, Global Product Manager

평가 기준 / 기본 사항

공급업체 지속가능성 성과 평가(SSPA)는 다년간의 사회 규정 준수 심사 경험을 바탕으로 TUV 라인란드 전문가들이 개발했으며, 다음과 같은 측면을 포함합니다:

노동
안전 및 보건
×

노동

This module includes the criteria for reviewing a company's policies and procedures in relation to labor standards and practices, particularly regarding child labor and young workers, forced labor, freedom of association and collective bargaining, discrimination, disciplinary action, working hours, and remuneration. The use of private/public security forces is also being investigated in relation to possible violations of human rights. It includes the company's policy to prevent child labor and the implementation of age verification measures during the hiring process. Additionally, it examines whether the company has implemented effective mechanisms to fight forced labor and whether working conditions comply with legal requirements. It ensures that the company respects the right to freedom of association and collective bargaining and does not discriminate in terms of employment, promotion, remuneration, and other aspects. It also examines the documentation of disciplinary rules and procedures, as well as whether working hours, overtime regulations, and pay regulations are in accordance with local laws and regulations.

  • Child or young workers’ labor
  • Forced labor
  • Freedom of association and collective bargaining
  • Discrimination
  • Disciplinary practices
  • Working hours
  • Remuneration

×

안전 및 보건

This module includes the criteria for reviewing the policies and conditions related to the safety and well-being of workers. One of the focuses is whether the company carries out sufficient health and safety risk assessments and ensures that a safe and healthy working environment is provided. It also examines safety precautions relating to building condition, fire protection, machine safety, electrical safety, chemical safety, personal protection, and emergency preparedness and response. It also includes criteria for evaluating the company's dormitories and kitchens against applicable legal requirements.

  • General conditions
  • Fire safety
  • Machine safety
  • Electrical safety
  • Chemical safety
  • Personal protection
  • Emergency preparedness and response
  • Kitchen, canteen, and dormitory

환경
윤리
×

환경

This module defines the criteria for reviewing measures and procedures regarding waste management, energy saving, emission reduction and restriction of hazardous substances. It focuses on the compliance with local regulations in waste management, the documentation of energy consumption as well as measures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If applicable, this module also checks the compliance with international environmental agreements such as the Minamata, Stockholm or Basel Conventions.

  • Waste management
  • Energy conservation
  • Emission reduction
  • Restricted substances

×

윤리

This module examines responsible business practices, especially providing unrestricted access to areas, documents, and personnel during an audit. It reviews established standards of conduct to ensure good business practices and fair competition. It also contains criteria regarding unlawful eviction or deprivation of land, forest, and water. Additionally, it investigates the protection of privacy and the provision of complaint channels for confidentially reporting any suspected ethical violations without the fear of negative consequences. It also includes criteria for the responsible sourcing of minerals.

  • Transparency
  • Anti-corruption
  • Anti-bribery
  • Fair business
  • Protection of intellectual property
  • Reporting of misconduct
  • Declaration of Country of Origin
  • Conflicting minerals

지배구조 모듈(선택 사항) 및 해당 콘텐츠

지배구조 모듈(선택 사항) 및 해당 콘텐츠

지배구조 모듈은 독일 공급망 실사법(LkSG) 및 유사한 실사법의 요구사항을 충족하도록 특별히 설계되었으며, 단순한 인권 및 환경 기준 준수 검증을 넘어 다른 모듈의 기준을 구체화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여기에는 인권 및 환경 기준, 위험 관리 프로세스, 공급업체 관리 관행, 국제 환경 협약 준수 측면에서 회사 방침에 대한 세부 평가가 포함됩니다. 또한, 불만 제기/신고 메커니즘을 통한 가능성 있는 위반사항에 대한 시정 및 예방 조치에 대한 내용도 포함됩니다.

아래의 지배구조 모듈을 자세히 살펴보고 중요 주제에 대한 개요를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인권 및 환경 방침
위험성 평가
공급업체 관리
환경 준수
이해관계자 및 커뮤니케이션 관리
예방조치
개선조치 및 시정조치
불만 절차

Human Rights & Environmental Policy Chapter(인권 및 환경 방침 )

이 장에서는 인권과 노동 및 환경 기준에 관한 회사 방침을 검토하여 다음의 질문에 대한 답변을 제공합니다: 회사는 근로자의 권리와 환경 보호를 위한 명확하고 선포된 방침을 가지고 있는가? 이러한 방침이 모든 회사 수준에서 시행되고 있는가? 아동 및 강제 노동, 차별, 결사의 자유, 단체 교섭, 산업 안전에 관한 ILO 핵심 노동 기준을 적용하고 있는가?

Risk Management Chapter(위험성 평가)

이 장에서는 인권 및 환경 기준을 준수하기 위한 기업의 프로세스를 평가합니다. 회사가 인권 상황과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지속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적절한 조치를 시행했는지 여부를 판단합니다. 발생 가능한 영향의 심각도에 따라 리스크 관리가 정의되어 있는가? 비즈니스 관계의 잠재적인 부정적 영향을 정기적으로 분석하고 지속적으로 조치를 개선하고 있는가?

Supplier Management Chapter(공급업체 관리)

이 장에서는 인권 및 환경 기준을 준수하기 위한 회사의 운영에 대한 공급업체 관리 부분입니다. 직접 공급업체를 위한 행동 강령이 시행되고 있는지, 어느 정도까지 시행되고 있는지, 규정 위반 문제를 처리하기 위한 정책이 있는지, 구매 부서가 그에 따라 교육을 받았는지 등을 살펴봅니다.

Environmental Obligations Chapter(환경 준수)

기업은 LkSG가 규정한 국제 환경 협약에 따른 의무를 준수합니까? 이 장에서는 기업이 수은 사용에 관한 미나마타 협약, 잔류성 유기 오염 물질에 관한 스톡홀름 협약의 규정 및 바젤 협약에 정의된 유해 폐기물 이동에 관한 규정을 준수하고 있는지 확인합니다.

Controls, Stakeholder & Communication Chapter(이해관계자 및 커뮤니케이션 관리)

이 장에서는 인권 및 환경 영향에 관한 조치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기업의 활동을 평가합니다. 심사 프로세스를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있는가? 잠재적으로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이해관계자와 협력하는가?

Preventive Measures Chapter(예방조치)

이 장에서는 회사 운영 및 전체 공급망에서 인권과 환경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예방하고 완화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이 장에서는 이러한 영향을 방지하기 위한 회사의 조치들을 분석하고, 직원과 공급업체 대상으로 이와 관련한 교육의 정도를 파악합니다.

Remedial Measures and Corrective Actions Chapter(개선조치 및 시정조치)

회사 내 또는 공급망 어딘가에서 인권 및/또는 환경 기준이 위반된 경우 어떤 시정조치 절차가 효과적인가요? 이 장에서는 어떠한 예방 또는 시정 조치가 정의되었는지, 그에 따라 위험 관리 시스템이 업데이트되었는지 살펴봅니다.

Complaints Procedure Chapter(불만 절차)

이 장에서는 회사의 고충처리 메커니즘에 대한 검토를 다룹니다. 메커니즘이 필수 LkSG 요건을 충족하는지, 직원과 관련 이해관계자 모두에게 명확하고 충분히 전달되었는지 여부를 조사합니다.

심사 절차: 평가를 받기 위한 12단계

TUV 라인란드의 공급업체 지속 가능성 성과 평가(SSPA) 프로세스는 세 가지 프로젝트 단계 내에 12단계로 구성됩니다:

1. Pre-audit activities (사전심사 활동)

심사를 받고자 하는 공급업체를 선택하면 TUV 라인란드에서 프로젝트의 범위와 조건에 대한 견적을 제공합니다.

2. Audit execution (심사 실행)

TUV 라인란드의 숙련된 APSCA 심사원이 공급업체의 생산 현장을 심사하여 사전 정의된 표준을 준수하는지 확인합니다. 심사원은 검증된 도구를 사용하고 관련 정보 소스를 신중하게 검토하여 검증된 삼각 검증 모델을 적용하여 현장의 상황을 전체적으로 파악하고 결론을 내립니다.

3. Post-audit activities (심사 후 활동)

각 심사 결과는 확인된 부적합 사항과 개선이 필요한 잠재적 영역에 대한 상세한 보고서, 즉 시정 조치 계획(CAP)으로 표시됩니다. 심사가 끝나면 확인된 결함 및 개선이 필요한 잠재적 영역이 포함된 보고서(“시정 조치 계획”)가 작성됩니다. 심사원은 심사 결과를 ‘중대한 부적합’, ‘주요 부적합’, ‘경미한 부적합’ 및 '기타 부적합'으로 분류합니다. 최종 CAP는 심사 종료 시 공급업체와 공유됩니다. 내부 검토를 거친 후 CAP는 광범위한 보고서와 함께 고객과 공유됩니다.

심사 결과에 따라 TUV 라인란드는 시정 조치가 신속하고 적절하게 이행되었는지 공급업체와 다시 확인할 것을 권장합니다. 후속 심사는 짧은 현장 방문 또는 개인 면담을 통해 추가 정보를 확인할 필요가 없는 경우 데스크톱 심사를 실시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도 있습니다.

더 자세한 정보가 필요하신가요? TUV 라인란드의 SSPA 프로세스의 12가지 단계를 모두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책임감 있는 공급망: 전 세계에서 성공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우리는 책임감 있는 공급망을 위한 동반자입니다. 전체 가치 사슬을 통해 모든 개인과 기업이 책임감 있는 방식으로 비즈니스를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이를 위해, TUV 라인란드의 전문가팀은 업계 최고의 지식과 오랜 경험, 맞춤형 방법을 통해 고객에게 꼭 필요한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안전, 윤리, 공정, 환경적 지속 가능성 등 모든 측면의 책임에 대한 내용을 고객에게 안내함으로써 고객의 비즈니스 성공을 견인합니다. 우리의 헌신과 우수성은 부가가치, 경쟁 우위 및 경제 발전을 창출하며, 궁극적으로 공급망 심사 산업을 발전시키고, 사회를 위해 보다 책임감 있는 미래를 구축합니다.

APSCA 회원제도

저희는 APSCA 이니셔티브의 창립 회원입니다. APSCA는 전문 사회준법감시인 협회입니다. 이 조직은 심사인의 자격을 정의하고 검증하여 독립적인 사회 심사의 가치와 효과를 높이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많은 기업과 심사기관은 APSCA 인증 심사인이 수행한 심사만 인정합니다. TUV 라인란드는 정책적으로 APSCA 심사원을 통해서만 사회 심사를 실시합니다.

문의 및 견적요청

TUV 라인란드 시험∙인증 서비스에 대한 문의사항이 있으신 경우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TUV 라인란드 시험∙인증 서비스에 대한 문의사항이 있으신 경우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관련 서비스

랩(WRAP) 인증

랩(WRAP) 인증

미국 및 기타 글로벌 시장으로 제품 수출을 위한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랩(WRAP) 인증

펼침

세덱스 심사 (스메타)

세덱스 심사 (스메타)

전 세계적으로 사용되는 세덱스(Sedex)의 스메타(SMETA) 프로그램을 심사를 통한 귀사의 사회, 윤리 경영 시스템 전반에 대한 평가

펼침

마지막 방문 서비스 페이지